코오롱인더스트리는 1957년 국내 최초로 나일론 사업을 시작하여 국가경제 발전에 일조한 (주)코오롱의 제조 사업부문이 전신입니다. 2010년 1월 5일 코오롱그룹 지주회사 체제전환의 일환으로 제조사업부문에서 분할되어 신설된 화학 및 패션 부문 제조업체로, 현재는 산업소재, 화학, 필름/전자재료, 패션의 4대 부문을 중심으로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타이어코드, 에어백, 아라미드, 필름, 석유수지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며 국내외 시장을 선도하는 코오롱인더스트리의 혁신적인 기술과 미래 비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첨단소재 기술력으로 글로벌 시장 선도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슈퍼섬유'로 불리는 아라미드를 핵심 성장동력으로 삼고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시장 선점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아라미드는 가벼우면서도 강철보다 강하고 500도 이상의 고열을 견딜 수 있어 전기차 타이어, 5G 광케이블, 방탄, 우주 항공 소재 등 첨단산업분야의 핵심 소재로 활용됩니다. 2017년부터 2020년까지 3년간 생산량의 50% 증설 이후 약 2,400억 원을 추가로 투자해 생산량을 연 7,500t에서 1만 5,000t으로 두 배 규모로 증설하는 더블업(Double-Up)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또한 약 220억 원을 투자해 아라미드 원사를 절단 후 물리적 마찰을 가해 부스러기 형태로 만든 아라미드 펄프의 생산량을 1,500t에서 3,000t으로 늘리는 증설을 추진했습니다. 이는 차량용 마찰재의 보강재로 사용되며, 2025년 시행을 앞둔 EURO7 배출가스 규제 강화와 전기차 시장 성장에 따른 자동차의 정숙성 강화 요구에 대응하기 위함입니다. 석유수지 분야에서는 접착력 등 특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스페셜티 석유수지인 고순도 방향족계 석유수지(PMR) 기술을 통해 글로벌 고부가가치 석유수지 시장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2021년 1만 5,000t 규모의 스페셜티 석유수지 공장을 준공한 데 이어 1만 t 규모 추가 증설을 통해 PMR 생산능력 글로벌 1위로 올라서게 되었습니다.
2.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친환경 기술 개발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2047 Net Zero 달성을 환경경영 비전으로 삼고, 2047년까지의 비즈니스 아젠다를 포함한 탄소중립 로드맵을 수립했습니다. 이를 위해 신재생에너지 비중 확대, 에너지/온실가스 감축기술 고도화, 탄소 포집/저장/활용 등 다각적인 환경경영 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소재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폐생수병을 재활용한 PCR PET 원료를 활용하여 국내 최초로 장섬유 부직포인 스펀본드를 상업화했으며, 2020년 1월 국제 재생표준 인증(GRS)을 획득했습니다. 인공피혁 브랜드 샤무드(CHAMUDE)도 RCS 친환경 인증을 획득하여 차량용 인테리어 소재 등으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또한 SK지오센트릭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생분해성 플라스틱인 PBAT 공동 개발을 통해 2024년까지 연간생산량 5만 톤 규모로 확장할 계획입니다. 코오롱 미래기술원에서는 100% 천연물로부터 만들어지는 신규 바이오 플라스틱인 PEF를 개발하고 있으며, 이는 일반 플라스틱 대비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절반 이하이면서 내열성과 차단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3.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전략적 투자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차세대 이차전지 및 우주 소재 기술 등 미래를 위한 투자에도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차세대 음극재(리튬메탈) 제조 기술을 보유한 니바코퍼레이션에 100억 원 규모를 투자했으며, 폐배터리 재활용 스타트업 알디솔루션에도 약 45억 원 규모의 지분 투자를 단행했습니다. 우주 소재 분야에서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 우주 자원 개발 관련 업무 협약을 체결하여 우주의 극한 환경에서 자원 탐사 시 필요한 소재들을 발굴하고, 2032년 발사를 목표로 하는 한국형 달 착륙선용 소재 개발에도 기여할 예정입니다. 코오롱인더스트리의 아라미드는 우주 항공 분야 적용도 기대되고 있습니다. 수소 사업에서도 핵심 소재 통합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기술혁신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수소 사업 매출액이 2021년 300억 원 규모에서 2030년 1조 원 이상으로 대폭 확대될 전망입니다. 핵심부품인 수분제어장치, 막전극접합체(MEA) 및 전해질막(PEM) 분야에서 보유한 차별적인 경쟁력을 기반으로 수소 밸류체인 전반의 신규 수소 사업을 발굴해 비즈니스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21세기 글로벌 최고의 화학 및 소재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전기차, 첨단 소재, 스페셜티 화학, 우주 소재 등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과 사업화에 투자하며 Sustainable Technology Creator(지속가능한 기술 창조자)로 거듭나고 있습니다.